일상/공부 26

[에너지관리기능사] 기출 오답 4

201. 연소용 공기 자동조절기능 부착 조건 - 가스보일러 및 용량 5t/h 이상인 유류보일러 - 난방 전용은 10t/h 이상 (60만 kcal/h, 증기보일러 1t/h) 202. 보일러드럼 및 대형 헤더가 없고 지름이 작은 전열관을 사용하는 관류보일러의 순환비는 1 203. 연료의 연소시 이론공기량에 대한 실제 공기량의 비 , 즉 공기비의 일반적인 값은 항상 1보다 크다. 204. 열팽창에 대한 신축이 방열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로 증기 및 온수난방용 배관에 사용되며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하는 신축 이음 - 스위블 이음 205. 하트포드 접속법을 사용하는 난방방식 - 저압 증기난방 206. 급수 외처리시 고형협잡물 처리 방법 - 침강법, 응집법, 여과법 207. 에너지법에서 정한 지역 에너지 계..

일상/공부 2023.06.21

[에너지관리기능사] 기출오답 3

101. 보일러의 부하율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것 - 보일러의 최대증발량에 대한 실제증발량의 비율 102. 상당증발량이 6000, 연료소비량이 400kg/h인 보일러의 효율은 약 몇% 인가? (단 연료의 저위발열량은 9700이다.) - 보일러 효율 = (상당증발량 x 539 / 연료소비량 x 연료의 발열량)x 100 = (6000 x 539 / 400 x 9700) x 100 = 83.4% 103. 다음중 탄화수소비가 가장 큰 액체연료는 - 중유 104. 화염걸출기 기능 불량과 대책을 연결한것 - 집광렌즈 오염 : 분리 후 청소 - 증폭시 노후 : 교체 - 동력선의 영향 : 검출회로와 동력선 분리 - 점화전극의 고전압이 플레임 로드에 흐를때 전극과 불꽃 사이를 좁게 한다. 화염검출기 : 플레임 아이, 플..

일상/공부 2023.06.21

[에너지관리기능사] 기출 오답 2

51. 보일러 내처리로 사용되는 약제의 종류에서 pH, 알칼리 조정 작용을 하는 내처리제에 해당하는 것은? - 수산화나트륨, 인산, 암모니아 * 탈산소제에는 아황산소다, 탄닌, 히드라진 52. 보일러 배관 중에 신축이음을 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열팽창에 의한 관의 파열을 막기 위해 53. 연료배관에서 연료저장탱크와 버너 사이에 설치되는 것은 - 오일 펌프, 여과기, 중유가열기 * 증기축열기 : 잉여증기 저장고이며 송기장치 (증기이송장치) 54. 방열기의 종류중 관과 핀으로 이루어지는 엘리먼트와 이것을 보호하기 위한 덮개로 이루어지며 실내 벽면 아랫부분의 나비 나무 부분을 따라서 부착하여 방열하는 형식의 것은? - 베이스 보드 히터 55. 열사용 기자재 검사기준에 따라 수압시험을 할 때 강철..

일상/공부 2023.06.21

[에너지관리기능사] 기출 오답

1. 다음 중 파형노통의 종류는? * 파형 노통 종류 : 모리슨형, 데이톤형, 포크스형, 파브스형, 리즈포지형, 브라운형 2. 난방부하 계산과정에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난방형식 *난방부하 계산시 고려사항 1) 주위환경 조건 2) 유리창 및 문의 크기 3) 실내와 외기의 온도 4) 난방면적 및 열관류율 3. 다음중 보온재의 종류 중 안전사용(최고)온도가 가장 낮은것은? -탄화코르크판 *내화단역벽돌 : 1200℃ 펄라이트 보온판. 통 : 650℃ 규산칼슘 : 650℃ 글라스 울 블랭킷 : 300℃ 탄산 마그네슘 : 250℃ 이하 탄화 코르크판 : 130℃ 경질 폼라버 : 80℃ 이하 4. 다음중 유기질 보온재에 속하지 않는것은? -셀라크울 무기질 보온재 종류 : 글라스 폼, 글라스 울, 석면, 규..

일상/공부 2023.06.21

[에너지관리기능사] 보일러의 안전관리

1. 압력계 취급상 주의사항 -80℃ 이상의 온도가 되지 않게 해야한다. -연락관에 콕을 붙혀 콕의 핸들이 관의 방향과 일치할때 개통되게 하여야 한다. 가동중 : 상방콕정지시 : 분동식 압력계2. 수면계 취급상 주의-조명을 충분히 하고 항상 깨끗하게 청소하여 준다. -수면계 기능 점검은 매일 행한다. -콕은 빠지기 쉬우므로 6개월마다 분해 정비하여 준다. 3. 수면계 유리 파손 원인 -상하 콕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때 파손된다.-상하 콕의 패킹용 너트를 너무 조였을 때 파손된다. -유리에 충격을 가했을 때 파손된다. 4. 수면계 시험시기 보일러 가동 직전 가동 후 압력이 오르기 시작할 때 포밍, 프라이밍이 유발할때 5. 안전밸브 증기누설-밸브와 밸브 시트 사이에 이물질이 부착되었을 때 누설된다.-밸브와..

일상/공부 2023.06.10

[에너지관리기능사] 보일러 설치 검사기준 등

1. 옥내 설치 -보일러는 불연성물질의 격벽으로 구분된 장소에 설치 -보일러 동체 최상부로부터 천장, 배관등 보일러 상부에 있는 구조물까지의 거리는 1.2m 이상, 소형 보일러 및 주철제 보일러의 경우에는 0.6m 이상 - 보일러 동체에서 벽, 배관, 기타 보일러 측부에 있는 구조물까지 거리는 0.45m이상 , 소형 보일러는 0.3m이상 - 연료를 저장할 때에는 보일러 외측으로부터 2m 이상, 소형 보일러의 경우에는 1m 이상거리 2. 옥외 설치 -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노출된 절연재 또는 레깅 등에는 방수처리 - 보일러 외부에 있는 증기관 및 급수관 등이 얼지 않도록 - 강제 통풍팬의 입구에는 빗물방지 보호판을 설치 3. 보일러의 설치 - 강 구조물은 접지되어야 하고 빗물이나 증기에 의하여 부식이 ..

일상/공부 2023.06.10

[에너지관리기능사] 배관일반 필기, 문제

1. 강관 특징: 연관 주철관에 비해 가볍고 인장강도(늘어나고 줄어드는것)가 크다. 내충격성, 내굴요성(굽혀지거나 꺽이는것)이 크다. 종류 규격 용도 배관용 배관용 탄소강관 SPP 사용압력이 비교적 낮은 ( 10이하) 배관에 사용 압력배관용탄소강관 SPPS 고압배관용탄소강관 SPPH 고온배관용탄소강관 SPHT 저온배관용강관 SPLT 보일러 및 열교환기용 탄소강 강관 STBH 수도용 아연 도금 강관 SPPW SPP관에 아연 도금을 실시한 관 보일러 열교환기 ST 보일러 열교환기 합금강강관 STHA (STA) 스케쥴 번호 (관의 두께) = 10 x 사용압력/허용응력 허용응력 = 인장강도 / 안전율 관의 두께 10 ~ 80까지 뒤로 갈수록 두꺼움 2. 주철관 : 탄소함량 높음 , 내식성 내구성, 내압성 내마모..

일상/공부 2023.06.10

[에너지관리기능사] 난방부하 및 난방설비 필기, 문제

1. 난방부하 : 난방에 있어서 부하라 함은 열손실을 말하는 것 2. 열관류율이란 고온체의 열이 벽이나 보온 및 보랭이 된 벽을 통과해서 다른 쪽의 저온유체로 이동하는 열통과율, 즉 열관류의 열량계수이다. 3. 벽이나 물체가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열의 전도가 나빠진다. 4. 열관류율 단위 kcal/m^2h°C 5. 열전도율 단위 kcal/mh°C 6. 표준방열량 온수난방 : 450 증기난방 : 650 7. 방열량 계산 방열기의 방열량 = 방열기의 방열계수 x 온도차 8. 온도차 계산 (방열기 입구온도 + 방열기 출구온도 / 2) - 실내온도 9. 난방부하 계산 난방부하 = 방열기의 소요방열면적 x 방열기의 방열량 10. 난방부하 계산 Q = KF온도차 K - 열관류율, F - 전체면적 11. 정격출력 = ..

일상/공부 2023.06.10

[에너지관리기능사] 자동제어

1. 필요한 조작을 기계가 스스로 작동하여 제어동작을 행하는 장치 2. 시퀀스제어 : 미리 정해진 순서에 입각하여 제어의 각단계가 순차적으로 제어가 시작되는 자동제어 (예: 전기세탁기, 교통신호) 3. 피드백제어 : 출력의 신호를 입력의 측으로 되돌려주는 제어 (수정, 보완, 정정) 설정부 -> 조절부 -> 조작부 -> 제어대상 -> 검출부 -> 비교부 -> 조절부(반복) 4. 정치제어 : 목푯값이 일정한 것 추치제어 : 목푯값이 변화 1) 추종제어 : 목표치가 임의적으로 변화 2) 프로그램 제어: 목표치가 정하여진 계획에 따라 시간적으로 변화 3) 비율제어 : 목표치가 다른 양과 일정한 비율관계에서 변화 캐스케이드 제어 = 측정제어 , 프로세스 제어계 내에 시간 지연이 크거나 외란이 심한 경우 사용 5..

일상/공부 2023.06.09

[에너지관리기능사] 육용 보일러의 열정산방식 필기 , 문제

1. 보일러의 열정산은 정격부하 이상에서 정상상태로 적어도 2시간 이상 운전결과에 따른다. 시험부하는 원칙적으로 정격부하 이상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3/4, 2/4, 1/4등의 부하로 한다. 2. 시험은 시험 보일러를 다른 보일러와 무관한 상태로 하여 실시한다. 3. 발열량은 원칙적으로 사용 시 연료의 고발열량 (총발열량)으로 한다. 저발열량(진발열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준발열량을 분명하게 명기해야 한다. 4. 열정산의 기준온도는 시험 시의 외기온도를 기준 5. 보일러로 들어가는 열 1) 입열 : 연료의 연소열, 공기의 현열, 노내의 분입증기열, 연료의 현열 2) 출열 : 유효출열 : 발생증기 보유열 손실열 : 배기가스 손실열, 불완전연소손실열, 미연분에 의한 손실열, 방사열, 노내 분입증기에 의한..

일상/공부 2023.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