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공부

[에너지관리기능사] 기출오답 3

탐스터 2023. 6. 21. 20:40

101. 보일러의 부하율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것

- 보일러의 최대증발량에 대한 실제증발량의 비율 

 

102. 상당증발량이 6000, 연료소비량이 400kg/h인 보일러의 효율은 약 몇% 인가? (단 연료의 저위발열량은 9700이다.)

- 보일러 효율 = (상당증발량 x 539 / 연료소비량 x 연료의 발열량)x 100 = (6000 x 539 / 400 x 9700) x 100 = 83.4%

 

103. 다음중 탄화수소비가 가장 큰 액체연료는

- 중유 

 

104. 화염걸출기 기능 불량과 대책을 연결한것 

- 집광렌즈 오염 : 분리 후 청소 

- 증폭시 노후 : 교체

- 동력선의 영향 : 검출회로와 동력선 분리

- 점화전극의 고전압이 플레임 로드에 흐를때 전극과 불꽃 사이를 좁게 한다. 

화염검출기 : 플레임 아이, 플레임 로드, 스택 스위치

 

105. 유입 분무식 오일버너의 특징에 관한 설명

- 대용량 버너의 제작이 가능

- 무화 매체가 필요없다. 

-기름의 점도가 크면 무화가 곤란하다.

- 유압분무식 오일버너는 유량조절범위가 1:2 정도로 그 범위가 매우 작다. (유량 조절이 불가능하여 부하변동이 적은 대용량보일러 버너로 사용)

 

106. 보일러의 자동제어에서 연소제어시 조작량과 제어량의 관계가 옳은것

공기량 - 노내압력

급수량 - 보일러 수위

연료량 - 증기압력 

전열량 - 증기온도 

 

107. 플레임 아이는 불꽃의 직사광이 불꽃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계하여야 플레임 아이가 화염의 착화 유무를 알 수 있다. 

 

108. 잠열 : 물의 증발열, 액의 기화열, 얼음의 융해잠열 

 

109. 배관 지지쇠의 종류 

행거 : 리지드, 스프링, 콘스턴트

서프트 : 스프일, 롤러, 리지드

리스트레인트 : 앵커, 스톱, 가이드

브레이스 : 방진기, 완충기

 

110. 배관의 중간이나 밸브, 펌프, 열교환기 등의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이음쇠로서 분해, 조립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는것

- 플랜지, 유니언

 

111. 세관 작업시 규산염은 염산에 잘 녹지 않으므로 용해촉진제를 사용하는것 

- 불화수소 (HF)

 

112. 에너지이용합리화법상 열사용 기자재

- 강철제, 주철제, 소형온수보일러

- 구멍탄용 온수보일러

-축열식 전기보일러

- 1, 2종 압력용기 

- 요로 (용업, 금속)

 

113. 에너지 공급자 : 에너지를 생산, 수입, 전환, 수송, 저장 또는 판매하는 사업자

        에너지 공급설비 : 에너지를 생산, 전환, 수송, 저장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설비

 

114.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설정, 관리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하여 총괄,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자는 

- 환경부장관

 

115.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 효율 목표를 통보받은 관리업체가 규정의 사항을 포함한 다음 연도 이행 계획을 전지적 방식으로 언제까지 부문별 관장기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 매년 12월 31일 

 

116. 보일러 증기 발생량 5t/h , 발생 증기 엔탈피 650 , 연료 사용량 400, 연료의 저위 발열량 9750 일때 보일러 효율(단, 급수온도 20)

-유효열 = 5 x 1000 x (650-20) = 3150000

-공급열 = 400 x 9750 = 3900000

효율 = 3150000 / 3900000 x 100 = 80.8%

 

117. 보일러 효율이 85%, 실제 증발량이 5t/h 이고 발생증기와 엔탈피 656, 급수온도의 엔탈피 56 연료의 저위발열량 9780 일때 연료 소비량 

5000 x (656-56) / 0.85 x 9750 = 362

 

118. 긴관의 한끝에서 펌프로 압송된 급수가 관을 지나는 동안 차례로 가열, 증발, 과열된 다음 과열 증기가 되어 나가는 형식의 보일러는

- 관류보일러

 

119. 보일러 효율 순서

수관식 > 연관식 > 코르니시 (노통 보일러) > 입형 보일러

 

120. 플로트 트랩, 버킷 트랩은 기계적 트랩이다. 

 

121. 연료를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실제공기량과 이론공기량의 비, 즉 공기비를 m이라 할 때 다음식이 뜻하는것은

(m-1)x100 % = 과잉 공기율

 

122. 물의 현열 : 온도변화, 압력 상승 / 증발열 : 상태변화, 온도 일정, 압력 일정 / 융해열 : 얼음의 융해잠열 

 

123. 용적식 유량계는

- 로터리형 유량계, 루트형 유량계, 오벌기어형 유량계

*유속식 유량계 : 피토관식 유량계 

 

124. 연소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반응 물질의 속도, 산소의 온도, 촉매물질 , 발열량이 높으면 노 내 온도상승 효과 

 

125.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판을 하나로 합쳐 온도 차이에 따라 팽창온도가 다른점을 이용한 온도계는? 

- 바이메탈 온도계 

 

126. 유류연소 수동보일러의 운전정지 내용

- 운정정지 직전에 유류예열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유류예열기의 온도를 낮춘다.

- 연소실 내, 연도를 환기시키고 댐퍼를 닫는다.

- 보일러 운전 정지 시에는 정상 수위에서 100mm 정도 수위를 상승시켜서 다음 날 운전 직전 수저분출을 용이하게 한다.

- 연소실에서 버너를 분리하여 청소를 하고 기름이 누설되는지 점검한다.

 

127. 증기 트랩의 종류 - 열동식, 버켓식, 플로트 트랩 

 

128. 배관의 단열공사를 실시하는 목적

-열에 대한 경제성을 높인다. 

-온도변화를 제한한다.

-화상 및 화재를 방지한다. 

- 기타 열손실을 감소한다. 

 

129. 보일러 외처리 방법 중 탈기법에서 제거되는것 - 산소 

*기폭법 : 이산화탄소 및 철분, 망간 제거 

 

130. 열전도 : 인접한 물체 사이의 열의 이동 현상 , 열관류 : 열이 한 유체에서 벽을 통하여 다른 유체로 전달되는 현상, 표준방열량: 방열기가 표준 상태에서 1m^2당 단위시간에 방출하는 열량, 정격용량 : 보일러 최대 부하상태에서 단위시간당 총 발생되는 열량

 

131. 가정용 온수보일러 등에 설치하는 평창탱크의 주된 설치 목적 

- 허용압력 초과에 따른 안전장치 

 

132. 신, 재생 에너지 설비의 설치를 전문으로 하려는 자는 자본금, 기술인력 등의 신고기준 및 절차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신고해야한다. 

 

133.보일러 기관 작동을 저지시키는 인터록 제어

- 저수위, 저연소, 프리퍼지, 압력초과, 불착화 인터록 

- 인터록 : 현재의 운전작동에 이상이 생기면 다음 동작을 정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 

 

134. 수관식 보일러는 구조가 복잡하여 청소나 검사, 수리가 불편하다. (노통보일러와 정반대)

 

135. 건포화증기의 엔탈피와 포화수 엔탈피의 차는 

- 잠열 

*증발잠열 = 건포화증기 엔탈피 - 포화수 엔탈피

 건포화증기 엔탈피 = 증발잠열 + 포화수 엔팔피 

 

136. 연관식 보일러 특징

- 동일 용량인 노통 보일러에 비해 설치면적이 작다. 

- 전열면적이 커서 증기 발생이 빠르다.

- 분식 연소 보일러(연관식)는 화실의 용적이 커서 연료의 선택범위가 넓다. 

- 양질의 급수가 필요하다. 

 

137.열전도에 적용되는 푸리에의 법칙

- 두 면 사이에 흐르는 열량은 물체의 단면적에 비례

-두면 사이에 흐르는 열량은 두 면 사이의 온도차에 비례

-두 면 사이에 흐르는 열량은 시간에 비례

- 두 면 사이의 두께는 반비례한다. 두께가 두꺼우면 저항을 받는다. 

 

138. 증발배수 = 보일러 실제 증기 발생량 / 보일러 실제 연료 소모량 

 

139. 증기압력이 높아지면 증발 잠열이 감소한다. 

 

140. 보일러 수중의 경도 성분을 슬러지로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청관제는 - 연화제 

 

141. 보일러 유리 수면계의 유리파손 원인과 무관한것

- 증기의 압력을 갑자기 올렸을때 

* 증기의 압력을 갑자기 올리면 보일러 부동팽창 등이 발생

 

142. 보일러에서 분출 사고시 긴급조치사항

- 연도 댐퍼를 전개

-연소를 정지

-급수를 계속하여 수위의 저하를 막고 보일러의 수위유지에 노력

*프리퍼지등 노 내 공기로 치환 시 압입 통풍기를 가동시킨다. 

 

143. 증기의 경우 표준대기압 1.0332, 물의 증발 잠열 539, 표준 방열기의 경우 증기온도 102도 기준이다. 

 

144. 증기난방 응축수 환수방식

- 중력환수식 ( 밀도차 이용)

- 기계환수식 ( 펌프 이용)

- 진공환수식 (관 내 진공 100 ~ 250mmhg 이용)

 

145. 에너지이용합리화법상 에너지의 최저소비효율기준에 미달하는 효율관리기자재의 생산 또는 판매금지 명령을 위반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

- 2천만원 이하의 벌금

 

146. 특정열사용 기자재 중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검사대상기기를 폐기한 경우 폐기한 날부터 15일 이내에 폐기신고서 제출 

 

147 특정열사용 기자재 중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검사대상기기의 계속사용검사 신청서는 검사유효기간 만료 10일전까지 제출 

 

148. 보염장치 구성요소 : 바람상자, 보염기, 버너타일, 컴버스트 

 

149. 안전밸브 종류 : 레버식, 추식, 스프링식, 복합식 

 

150. 분진가스를 방해판 등에 충돌시키거나 급격한 방향전환 등에 의해 매연을 분리 포집하는 집진방법 

- 관성력식

 

151. 보일러에 사용되는 열교환기 중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는 교환기가 아닌것은 - 방열기 

 

152. 수관식 보일러는 부하변동에 따른 압력, 수위변동이 커서 제어가 곤란하다. 

 

153.LPG가스(프로판, 부탄) 가스는 LNG(메탄) 연료에 비하여 2.5 ~ 3배의 소요공기가 필요 

 

154. 증기의 건도 향상 : 얍력을 증가, 비수방지관 설치, 기수분리기 설치 

 

155. 경납땜의 종류 (450도 이상) : 황동납, 인동납, 은납 / 연납땜의 종류 (450 미만) : 주석-납, 알루미늄, 주석 

 

156. 보일러수 중에 함유된 산소에 의해서 생기는 부식 - 점식 

 

157. 보일러 설치, 시공기준상 가스용 보일러의 연료 배관시 배관의 이음부와 전기계량기 및 전기 개폐기와의 유지거리는 60cm 이상이다. 

 

158. 에너지이용합리화법상 에너지를 사용하여 만드는 제품의 단위당 에너지사용목표향 또는 건축물의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목표량을 정하여 고시하는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59.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법에 따라 건출물인증기관으로부터 건축물인증을 받지 아니하고 건축물인증의 표시 또는 이와 유사한 표시를 하거나 건축물 인증을 받은 것으로 홍보한 자에 대해 부과하는 과태료 기준 -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160. 일반적으로 보일러 열손실중에서 가장 큰것은 - 배기가스에 의한 손실

 

161. 기름예열기: 서비스탱크에서 점도가 떨어진 기름을 무화에 적당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장치

 

162. 가스버너 연소방식 중 예혼합 연소방식이 아닌것은 - 포트형 버너

 

163. 과잉공기량 = 실제공기량 - 이론공기량 

 

164. 주철제 벽걸이 방열기의 호칭 방법 

- W - 형 x 쪽수

 

165.저탕식 급탕설비에서 급탕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가스나 전기를 공급 또는 정지하는것 - 서모스탯

 

166. 유류 연소 자동점화 보일러의 점화순서상 화염 검출기 작동후 다음 단계는 - 전자 밸브 열람 

* 공기댐퍼 열림 - 노 내 환기 - 화염검출기 작동 - 전자밸브열람 - 노 내 압 조정 

 

167. 연관 최고부보다 노통 윗면이 높은 노통연관보일러의 최저수위의 위치는 - 노통 최고부 위 100mm

 

168. 보일러 외부 검사 - 배관의 누설상태 검사

 

169. 급수처리 기폭법 : 철, 망간, 탄산가스 제거 

 

170.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에너지 진단을 면제 또는 에너지진단주기를 연장받으려는 자가 제출해야하는 첨부서류 

- 중소기업임을 확인할수 있는 서류, 에너지 절약 유공자 표창 사본, 친에너지형 설비 설치를 확인할수있는 서류 

 

171. 비접촉식 온도계의 종류

- 광전관식 온도계, 방사 온도계, 광고 온도계

* 접촉식 온도계 : 열전대 온도계, 전기저항식 온도계 등

 

172. 수위의 부력에 의한 플로트 위치에 따라 연결된 수은 스위치로 작동하는 형식으로 중 소형 보일러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저수위 경보장치 - 맥도널식 

 

173. 실제공기량 = 이론공기량 x 공기비 

 

174. 효율이 82%인 보일러로 발열량 9800의 연료를 15kg 연소시키는 경우의 손실 열량

-총열량 : 15 x 9800 = 147000

손실열량 : 147000 x (1-0.82) = 26460kcal

 

175. 다음중 주형 방열기의 종류 

방열기 (라디에이터) : 주철제 

- 2주형, 3주형 

-3세주형, 5세주형 

- 길드형

 

176. 금속 특유의 복사열에 대한 반사 특성을 이용한 대표적인 금속질 보온재 : 알루미늄 박

 

177. 온수보일러의 순환펌프 설치방법 

- 순환펌프의 모터부분은 수평으로 설치 

- 환수배관에 설치 

-순환펌프에 여과기 설치

 - 순환펌프에 바이패스 설치

 

178. 보일러 가동시 매연 발생의 원인 

- 연소실 용적의 과소, 연료중 불순물 혼입, 연소용 공기의 공급 부족 

 

179. 연도의 저온부식을 방지하려면 첨가제를 사용하여 황산가스의 노점을 강하시킨다. '

 

180. 가성취화 부식 : 취화균열이며 철강조직의 입자 사이가 부식되어 취약해지고 결정입자의 경계에 따라 균열이 생긴다. 

 

181. 증기 난방 방식 : 단관 중력 환수식 하향 공급식 기울기 : 1/100 ~ 1/200

 

182. 보일러 정격부하 = 난방부하 + 급탕 부하 + 배관부하 + 예열부하 (시동부하)

 

183. 증기난방 응축수 환수 방법 

- 중력 환수식 ( 응축수 비중 이용)

- 기계 환수식 ( 응축수 펌프 사용)

- 진공 환수식 ( 진공펌프 사용) 

 

184.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상 효율관리기자재의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또는 에너지 소비효율을 효율관리 시험기관에서 측정받아 해당 효율관리기자재에 표시하여야 하는 자는 

- 효율관리기자재의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

 

185.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녹색성장위원회의 심의사항이 아닌것은

- 지방자치단체의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186. 수위경보기의 종류 중 플로트의 위치변위에 따라 수은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켜 경보를 울리는 것은

- 맥도널식 경보기 

 

187. 함진가스에 선회운동을 주어 분진입자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입자를 분리하는 집진장치로 가장 적합한것은 

- 사이클론식 집진기

 

188. 보일러 배기가스의 자연통풍력 증가시키려면 연도길이는 짧게, 배기가스 온도는 높게, 연돌의 높이는 주위 건물보다 높게, 연돌의 상부 단면적을 크게 한다. 

 

189. 증기의 건조도 : 습증기 전체 질량 중 증기가 차지하는 질량비를 말한다. 

 

190. 보일러 부속장치인 증기과열기를 설치 위치에 따라 분류 

- 복사식, 접촉식, 복사접촉식 

 

191. 캐리오버로 인하여 나타날수 있는 결과로 거리가 먼 것은 - 프라이밍 

*캐리오버 : 비수와 거품이 같이 보일러 외부 배관으로 분출되는 현상 = 기수공발; 증발부가 너무 적으면 기수 공발이 발생 (보일러 본체의 물이 가득차 증기부의 용량이 적은 상태)

 

192. 주 증기관에서 증기의 건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 드레인 포켓 설치

- 증기기관 내에 공기를 제거

-기수분리기 사용

-증기는 가압한 후 압력은 낮춘다. 

 

193. 관의 방향을 바꾸거나 분기할 때 사용되는 이음쇠 

- 벤드 , 크로스. 엘보

*니플 : 배관 직속 이음용 부속

 

194.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상 목표에너지 단위 : 에너지를 사용하여 만드는 제품의 단위당 에너지 사용 목표량 

 

195.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상 에너지소비효율 등급 또는 에너지 소비효율을 해당 효율관리 기자재에 표시할 수 있도록 효율관리 기자재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는 기관 - 효율관리시험기관

 

196. 보일러 수위제어 검출방식의 종류 

- 전극식 : 수관식 (관류 보일러)

- 플로트식 : 맥도널 기계식 

- 열팽창관식 : 금속식, 액체식 

 

197. 중유의 첨가제 중 슬러지의 생성 방지제 역할을 하는것 - 안정제

- 회분개질제 : 재의 융점을 높여서 부식 방지

- 탈수제 : 중유의 수분을 제거

- 연소촉진제 : 조연제로서 카본을 적게 하기 위한 산화촉진제 

 

198.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상용수위는 수면계의 1/2 위치와 일치

 

199. 절탄기 : 보일러 급수 예열하는 장치 (석탄, 연료 절약)

 

200. 유류용 온수보일러에서 버너가 정지하고 리셋 버튼이 돌출하는 경우 - 오일 배관 내의 공기가 빠지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