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보일러 내처리로 사용되는 약제의 종류에서 pH, 알칼리 조정 작용을 하는 내처리제에 해당하는 것은?
- 수산화나트륨, 인산, 암모니아
* 탈산소제에는 아황산소다, 탄닌, 히드라진
52. 보일러 배관 중에 신축이음을 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열팽창에 의한 관의 파열을 막기 위해
53. 연료배관에서 연료저장탱크와 버너 사이에 설치되는 것은
- 오일 펌프, 여과기, 중유가열기
* 증기축열기 : 잉여증기 저장고이며 송기장치 (증기이송장치)
54. 방열기의 종류중 관과 핀으로 이루어지는 엘리먼트와 이것을 보호하기 위한 덮개로 이루어지며 실내 벽면 아랫부분의 나비 나무 부분을 따라서 부착하여 방열하는 형식의 것은? - 베이스 보드 히터
55. 열사용 기자재 검사기준에 따라 수압시험을 할 때 강철재 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이 0.43MPa 초과, 1.5MPa 이하인 보일러의 수압시험 압력은?
- 최고사용압력의 1.3배 + 0.3MPa
* 0.43MPa 이하 : 2배 수압
0.43MPa 초과 ~ 1.5MPa 이하 : 최고사용압력의 1.3배 + 0.3MPa
1.5MPa 초과 (15kg/cm^2초과) : 2배 수압
56. 액체연료의 일반적인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맞은것은?
- 고체연료에 비해서 단위중량당 발열량이 높다.
- 연소효율이 높고 연소조절이 용이하다.
- 수송과 저장 및 취급이 용이하다.
- 기체연료는 황분을 정제하여 사용하는 연료이므로 유황분이 없어 기기 부식의 염려가 거의 없다.
57. 공기예열기 전열방식
- 전도식, 재생식, 히트파이프식
58. 보일러 저수위 경보장치
- 플로트식 (맥도널식, 부자식)
- 전극식 ( 관류 보일러용)
- 열팽창관식 (코프스식)
59. 여과식 집진장치의 분류
- 원통식, 평판식, 역기류 분사식
* 세정식 집진장치 종류 : 유수식, 가압수식, 회전식
60. 열역학과 관계된 용어 중 그 단위가 다른것은?
- 열전도율
*열전달계수, 열관류율, 열통과율 = kcal /m^2h℃
열전달율 = kcal /mh℃
61. 개방된 표면에서 구멍 형태로 깊게 침식하는 부식
- 점식 ( 용존산소에 의해 일어나는)
62. 압축기 진동과 서징, 관의 수격작용, 지진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데 사용되는 지지장치
- 브레이스
63. 천연고무와 비슷한 성질을 가진 합성고무로서 내유성, 내후성, 내산화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며, 석유용매에 대한 저항성이 크고 내열도는 -46 ~ 121℃ 범위에서 안전한 패킹 재료는?
-네오플랜
64. 에너지법상 지역에너지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아 아닌것은?
- 에너지 소비 촉진대책에 관한 사항
* 포함된 사항 : 에너지 수급의 추이와 전망에 관한 사항, 에너지이용합리화와 이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대책에 관한 사항, 미활용에너지원의 개발, 사용을 위한 대책에 관한 사항
65. 보일러 급수장치에 해당되는 것은?
- 급수내관, 원심펌프, 인젝터
*증기이송장치 : 비수방지관, 기수분리기, 주 증기밸브, 신축조인트, 감압밸브, 증기헤더, 스팀트랩
66. 노통이 하나인 코르니시 보일러에서 노통을 편심으로 설치하는 가장 큰 이유는?
- 보일러수의 순환을 좋게 하기 위함
67. 집진장치 중 가압수를 이용한 집진장치는?
- 벤투리 스크레버식, 사이클론 스크레버식, 제트 스크레버식, 충진탑
68. 온수 보일러에서 배플 플레이트의 설치 목적으로 맞는것은?
- 그을음 부착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69. 증기난방 방식에서 응축수환수방법은
- 진공 환수식, 기계 환수식, 중력 환수식
70. 구상흑연주철관이라고도 하며, 땅속 또는 지상에 배관하여 압력상태 또는 무압력 상태에서 물의 수송 등에 주로 사용되는 주철관은
- 덕타일 주철관
71. 저탄소녹생성장기본법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량 이상의 에너지 소비업체를 지정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기준일은 2013년 7월 21일을 기준으로 한다.)
- 해당연도 1월 1일을 기준으로 최근 3년간 업체의 모든 사업체에서 소비한 에너지의 연평균 총량이 350terajoules 이상
72.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따라 주철제 보일러에서 설치검사를 면제받을 수 있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전열면적 30제곱미터 이하의 유류용 주철제 증기 보일러
*가스 외의 연료를 사용하는 1종 관류 보일러
73. 보일러의 부속장치 중 축열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것은?
-보일러의 부하 변동에 대비하기 위한 장치
* 남아도는 잉여증기를 급수탱크에 열로 저장한 후 보일러 부하변동시 온수를 보일러 본체로 보내어서 증기발생 또는 온수공급을 촉진한다.
74. 수위경보기의 종류
- 맥도널식, 전극식, 마그네틱식
*배플식 : 열손실 내 화염 방지판 (화염이 전열면으로 향하도록 화염의 위치를 이끌어주는 장치)
75. 연료발열량은 9750kcal/kg 연료의 시간당 사용량은 300kg/h인 보일러의 상당증발량이 5000kg/h일때 보일러 효율은 약 몇 % 인가?
*보일러 효율 = (상당증발량 x 539) / (연료소비량 x 발열량) x 100 = (5000 x 539) / (300 x 9750) x 100 = 92%
76. 보일러 예비 급수장치인 인젝터의 특징을 설명한 것
- 구조가 간단하다.
- 설치장소를 많이 차지하지 않는다.
- 급수온도가 높으면 급수가 곤란하다.
- 증기압이 2 ~ 10kg/cm^2 정도 이용
77. 보일러의 세정식 집진방법은 유수식과 가압수식, 회전식으로 분류할수 있는데 다음 중 가압수식 집진장치의 종류는
- 벤투리 스크러버, 제트 스크러버, 충전탑
* 보일러 집진장치(매연포집장치) : 우수식, 가압식, 회전식 (타이젠 와셔)
78. 수관 보일러 중 자연순환식 보일러와 강제순환식 보일러에 관한 설명
- 자연순환식 수관보일러는 드럼과 다수의 수관으로 보일러 물의 순환회로를 만들수 있도록 구성된 보일러
- 자연순환식 수관보일러는 곡관을 사용하는 형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강제순환식 수관보일러의 순환펌프는 보일러수의 순환회로 중에 설치한다.
- 강제순환식은 압력이 증가할수록 물과 증기의 비중차가 적어진다.
79. 보일러 수위제어 방식
- 단요소식 검출 (수위)
- 2요소식 검출 (수위, 증기)
- 3요소식 검출 (수위, 증기, 급수량)
80. 고체 연료의 고위발열량으로부터 저위발열량을 산출할때 연료 속의 수분과 다른 한 성분의 함유율을 가지고 계산하여 산출할 수 있는데 이 성분은 무엇인가?
- 수소
81.노통 보일러에서 노통에 직각으로 설치하여 노통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한 강도 보강, 관수순환을 양호하게 하는 역할을 위해 설치하는 것은?
-갤러웨이관 (횡관)
82. 강철제 증기 보일러의 안전밸브 부착에 관한 설명
- 쉽게 검사 할 수 있는 곳에 부착
- 밸브 축을 수직으로 하여 부착
- 밸브의 부착은 플랜지, 용접 또는 나사 접합식으로 한다.
- 강철제 증기보일러의 안전밸브는 가능한 한 보일러 동체에 직접 부착
*안전밸브의 종류 : 스프링식, 지렛대식, 중추식, 복합식
83. 회전이음이라고도 하며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하여 이음부의 나사회전을 이용해서 배관의 산축을 흡수하는 신축이음쇠
-스위블형 신축이음쇠
84. 보일러의 가동 중 주의해야 할 사항
- 보일러 운전 중 과잉공기는 되도록 적게 공급하여 완전연소가 되도록 한다. (과잉공기가 많으면 노 내 온도하강, 배기가스 , 열손실발생, 질소산화물 증가)
85. 개방식 팽창탱크에서 필요한 것
- 배기관, 급수관, 팽창관
* 밀폐식 팽창탱크 : 압력계, 방출밸브, 질소탱크
86. 기체연료 발열량 단위
기체연료 : kcal/Nm^3 (MJ/Nm^3)
고체, 액체연료 : kcal/kg (MJ/Kg)
87. 제어계를 구성하는 요소 중 전송기의 종류애 해당되는것은
- 전기식 (신호거리 수 km 가능)
- 유압식 ( 신호거리 300m 이내 가능)
- 공기압식 ( 신호거리 100m 이내 가능)
88. 액체연료의 유압분무식 버너의 종류
-플런저형
-외측 반환유형
- 직접 분사형
89. 수면계의 기능시험의 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
- 가마울림 현상이 나타날때
* 가마울림 : 습분이 많은 연료 사용시, 연도 내 에어포켓이 있는 경우, 연도나 보일러 내 공명음 발생
90. 보일러효율 시험방법에 관한 설명
- 급수온도는 절탄기가 있는 것은 절탄기 입구에서 측정한다.
- 배기가스의 온도는 전열면의 최종 출구에서 측정한다.
- 포화증기의 압력은 보일러 출구의 압력으로 부르동 관식 압력계로 측정한다.
- 증기온도의 경우 과열기가 있을때는 과열기 출구에서 측정한다.
91. 증기보일러에서 감압밸브 사용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것은
- 감압을 하면 증기의 건도가 향상되어 생산성 향상과 에너지 절감이 이루어진다.
*증기의 압력을 감압시키면 증기의 건도가 높아지며 증발잠열을 많이 이용할 수 있어서 열효율이 높아진다.
92. 1기압하에서 20도의 물 10kg을 100도의 증기로 변화시킬때 필요한 열량은 (단 물의 비열은 1kcal.kg이다.)
현열계산 : 10 x 1 x (100-20) = 800 (물의 현열)
물의 증발잠열: 539 (100도의 물을 100도의 증기로 변화시킬때 소비되는 열)
총 소요열량 : 800 + (539 x 10) = 6190kcal
93. 최고사용압력이 16인 강철제 보일러의 수압시험압력
*15kgf/cm^2 초과 보일러 수압시험 압력 (최고사용압력 x 1.5배)
16 x 1.5 = 2.4kgf/cm^2
94. 단관중력순환식 온수난방의 배관은 주관을 앞내림 기울기로 하여 공기가 모두 어느곳으로 빠지게 하는가?
- 팽창탱크
*단관중력 순환식 온수난방의 배관은 주관을 앞내림 기울기로 하여 시공하며 공기빼기 밸브는 팽창탱크로 빠지게 한다.
95. 두께가 13cm 면적이 10m^2 인 벽이 있다. 벽 내부온도 200도 외부의 온도가 20도일때 벽을 통한 전도되는 열량은 몇 kcal/h 인가?
(단, 열전도율은 0.02kcal/mh℃이다.)
-손실열량 : 0.02 x (10m^2 x (200-10)/0.13) = 276.9kcal/h
96. 포화온도 105℃인 증기난방 방열기의 상당방열면적이 20m^2일 경우 시간당 발생하는 응축수량은 약 몇 kg/h인가? (단 105℃ 증기의 증발잠열은 535.6kcal/kg이다.)- 방열기 응축수량 = 20 x(650 / 535.6) = 24.27kg/h
97. 보일러 본체나 수관, 연관 등에 발생하는 블리스터를 옳게 설명한 것- 라미네이션된 강판이 열에 의해 혹처럼 부풀어 나오는 현상
98. 콘크리트 벽이나 바닥 등에 배관이 관통하는 곳에 관의 보호를 위하여 사용하는것은- 슬리브
99. 열사용 기자재의 검사 및 검사면제에 관한 기준에 따라 급수장치를 필요로 하는 보일러에는 기준을 만족시키는 주펌프 세트와 보조펌프 세트를 갖춘 급수장치가 있어야 하는데, 특정 조건에 따라 보조펌프 세트를 생략할 수 없는 경우는? - 전열면적이 16m^2인 가스용 온수 보일러 * 검사대상 기기 중 증기보일러는 전열면적 12m^2이하 , 관류보일러는 전열면적 100m^2미만, 가스용 온수 보일러는 전열면적 14m^2 이하에서 보조펌프 세트를 생략할 수 있다.
100. 프라이밍 - 증기 내부에 수분이 수면위에서 혼입되어 습포화증기 유발
'일상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관리기능사] 기출 오답 4 (0) | 2023.06.21 |
---|---|
[에너지관리기능사] 기출오답 3 (0) | 2023.06.21 |
[에너지관리기능사] 기출 오답 (0) | 2023.06.21 |
[에너지관리기능사] 보일러의 안전관리 (0) | 2023.06.10 |
[에너지관리기능사] 보일러 설치 검사기준 등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