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압력계 취급상 주의사항
-80℃ 이상의 온도가 되지 않게 해야한다.
-연락관에 콕을 붙혀 콕의 핸들이 관의 방향과 일치할때 개통되게 하여야 한다.
가동중 : 상방콕정지시 : 분동식 압력계2. 수면계 취급상 주의-조명을 충분히 하고 항상 깨끗하게 청소하여 준다. -수면계 기능 점검은 매일 행한다. -콕은 빠지기 쉬우므로 6개월마다 분해 정비하여 준다. 3. 수면계 유리 파손 원인 -상하 콕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때 파손된다.-상하 콕의 패킹용 너트를 너무 조였을 때 파손된다. -유리에 충격을 가했을 때 파손된다. 4. 수면계 시험시기 보일러 가동 직전 가동 후 압력이 오르기 시작할 때 포밍, 프라이밍이 유발할때 5. 안전밸브 증기누설-밸브와 밸브 시트 사이에 이물질이 부착되었을 때 누설된다.-밸브와 밸브 시트의 마찰이 불량할 때 누설된다.6. 휴지중의 보일러 보존 1) 만수보존 (단기보존) 2~3개월 이내 , 휴기가긴이 6개월 이내일대 사용하는 방법으로 보일러 내부를 완전히 청소한 후 물을 가득 채운뒤 약을 첨가하는 방법 (보통만수 - 약 없, 소다만수 - 약 있)2) 가열건조법 15일 ~ 1달 휴지할 경우 , 물 빼고 불지펴 건조 3) 장기보존6개월 이상 흡습제 사용 ( 생석회, 실리카겔, 활성알루미나, 염화칼슘)4) 질소봉입 건조 보온99.5%의 질소를 0.6kgf/cm^2 정도로 가압하여 공기와 치환하는 방법7. 보일러 청소시 유의사항 증기관, 급수관은 타 보일러와의 연락을 차단한 후 실시한다.8. 산세관슬러지, 스케일 제거 HF (불산) - 이용해서 전처리, 찌든때 제거, 용해 촉진제 슬러지 (물때) -> 스케일 연질 : 탄산염, 인산염경질 : 황산염, 규산염처리과정 : 전처리 - 수세 - 산세척 - 수세 - 방청9. 소다 보일링 보일러를 신설 및 수선하였을 때는 부착된 유지나 녹 및 스케일 페인트 등을 제거한다.한참 쓰다 안좋아질때도 가능 10. 물관리 : 증류수 사용하는게 가장 좋음급수관리의 목적 = 분출의 목적 - 전열면에 스케일 생성 방지, 관수의 농축 방지, 부식의 발생 방지, 가성 취화 방지, 기수공발 (케리오버) 방지 11. 경도 : 수중의 칼슘이나 마그네슘의 수치를 나타낸 것 , 경도의 기준 10 보다 작으면 좋은물 (보일러수:연수, 관수), 보다 크면 나쁜물 : 경수 (ph 7~9)12. 가마검댕고착하지 않고 드럼 저부에 침적하는 것 13. 보일러 내 처리 첨관제 pH 조정제 : 가성소다, 제 1인산소다, 제3인산소다, 암모니아 연화제 : 탄산소다, 인산소다탈산소제 : 탄닌, 히드라진, 아황산나트륨 (산소를 업애버리는 약품)슬러지 조정제 : 전분, 탄닌, 리그닌, 덱스트린기포 방지제 가성취화 방지제 14. 가스체의 처리-기폭법 -탈기법 : 산소, 탄산가스를 제거하는 방법 15. 고형 협잡물의 처리 (현탁 고형물)- 침강법 : 입자가 0.1mm 이상의 것을 처리하는 방법- 응집법 : 입자가 0.1mm 이하의 침강속도가 느린것을 응집제를 사용하여 물에 불용해의 부유물을 만들고 탁도 성분을 흡착 결합시켜 제거하는 방법 (응집제 : 황산알루미늄, 폴리염화알루미늄)-여과법 : 작은 입자를 제거하는 방법16. 용해 고형분의 제거 이온교환법 -경수 연화 : 탈알칼리연화 -전염탈염 증류법약품처리법 (석회소다법, 가성소다법, 인산소다법) 17. 부식1) 내면부식 원인 -관수의 화학적 처리가 불량 -보일러 휴지 중 보존이 불량-화학 세관이 불량-관수의 순환불량으로 국부과열이 발생 산소 - 점식, 국부부식 / 물 - 전면부식 / 구부러진것 - 구르빙 부식, 알칼리 부식 급수처리 필터, 아연 매달기, 배기가스 온도 200~400℃ 지나가게 유지 2) 외면부식 원인 -수분, 습분이 있을 때 -이음이나 뚜껑 등으로 관수가 누설될때 -연료중 황,나트륨 및 바나듐이 많을때
18. 래미네이션 : 보일러 강관이 두장의 층으로 형성하고 있는 흠
19. 블리스터 : 강판이나 관 등의 두 장의 층으로 갈라지면서 화염이 접하는 부분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래미네이션 -> 블리스터
20. 크랙 : 부동팽창하며 생김
21. 가스폭발 ( 역화연상)
미연소 가스의 폭발현상
프리퍼지 부족, 정화가 늦어짐, 흡입통풍이 약해, 압입통풍이 강해, 연료가 공기보다 먼저 공급
22. 워터해머 : 증기관 속에 고여있는 응축수가 송기 시 고온, 고압의 증기에 밀려 관의 굴곡부분을 강하게 치는 현상
주증기변을 서서히 개폐, 증기관 말단에 트랩을 설치, 증기관을 보온
23. 가마울림 : 연소 중 연소실이나 연도 내에서 연속적인 울림을 내는 현상 (수관, 노통, 횡연관, 보일러 등에서 일어난다.)
연료중에 수분이 많은 경우 일어남
24. 보일러 비상정지 순서
1) 연료 공급 정지
2) 연소용 공기 공급정지
예상문제 ( 오답)
1. 신설 보일러에서 소다 끓임 작업은 유지분의 제거를 워해서 필요
2. A: 일반화재, B:유류화재, C:전기화재, D:금속화재, E:가스화재
3. 유지분의 유해성은 보일러수의 포밍(거품)을 일으키고 과열의 원인이 된다.
4. 연도에 설치한 절탄기 (급수예열기) 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가스를 보낼때 절탄기 내 물의 움직임을 관찰하여야 한다.
5. 용접작업이나 무거운 중량물을 운반할 때는 장갑착용이 가능하다.
6. 보일러 점화시 역화의 원인 : 프리퍼지 부족, 1차 공기의 압력 부족, 연료의 압력 과대
7. 보일러 유류 연소장치에서 역화의 발생 원인 : 흡입통풍의 부족, 착화지연, 협잡물의 혼입
8. 보일러 전열면의 오손을 방지하는 방법은 연료 중 회분의 융점을 높인다.
9. 스택 릴레이는 연도에 설치하여 280℃이상이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10. 배기가스 열손실은 보일러 열손실 중 가장 크다.
11. 전열면의 오손방지를 위하여 연료 중 회분(바나듐 등)의 융점을 높인다.
12. 급수부족으로 보일러에서 저수위 사고 시 과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연소를 즉시 중단하고 댐퍼를 열고 천천히 냉각시킨다.
13. 급수내관의 부착위치 : 안전 저수위 아래 5cm 지점
14. 보일러 운전 중 갑자기 소화되면 화염검출기가 작동하여 연료공급이 중지된다.
15. 인젝터는 보일러 발생 증기를 흡인하여 분사하는 급수펌프(무동력펌프)이며 그래샴형과 메트로폴리탄형
16. 방폭문 설치장소는 연소실 후부 또는 연소실 후부의 좌우측이 가장 적합하다.
17. 응집법, 침강법, 여과법은 고형 협잡물 처리방법
18. 보일러 외부부식의 원인
청소구멍의 주위에서 누수가 된다. 빗물이 침입한다. 지면에 습기가 있다. 19. 저온부식은 H2O와 과잉공기량의 산소에 의해 발생20. 구식(그루빙)의 발생부위는 원통형 보일러의 노통 전단 플랜지의 둥근 부분에서 발생하기 쉽다. v, u자 형태의 도랑부식
'일상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관리기능사] 기출 오답 2 (0) | 2023.06.21 |
---|---|
[에너지관리기능사] 기출 오답 (0) | 2023.06.21 |
[에너지관리기능사] 보일러 설치 검사기준 등 (0) | 2023.06.10 |
[에너지관리기능사] 배관일반 필기, 문제 (0) | 2023.06.10 |
[에너지관리기능사] 난방부하 및 난방설비 필기, 문제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