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공부

[에너지관리기능사] 육용 보일러의 열정산방식 필기 , 문제

탐스터 2023. 6. 9. 21:13

1. 보일러의 열정산은 정격부하 이상에서 정상상태로 적어도 2시간 이상 운전결과에 따른다. 시험부하는 원칙적으로 정격부하 이상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3/4, 2/4, 1/4등의 부하로 한다.

2. 시험은 시험 보일러를 다른 보일러와 무관한 상태로 하여 실시한다. 

3. 발열량은 원칙적으로 사용 시 연료의 고발열량 (총발열량)으로 한다. 저발열량(진발열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준발열량을 분명하게 명기해야 한다. 

4. 열정산의 기준온도는 시험 시의 외기온도를 기준

5. 보일러로 들어가는 열 

1) 입열 : 연료의 연소열, 공기의 현열, 노내의 분입증기열, 연료의 현열

2) 출열 : 유효출열 : 발생증기 보유열 

               손실열 : 배기가스 손실열, 불완전연소손실열, 미연분에 의한 손실열, 방사열, 노내 분입증기에 의한 손실열

6. 급수온도의 측정 : 급수 온도는 절탄기 입구에서 측정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출구에서도), 절탄기가 없는 경우에는 보일러 몸체의 입구에서 측정, 인젝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앞에서도 측정

7. 예열 공기 온도의 측정 : 공기 온도는 공기 예열기의 입구 및 출구에서 측정한다. (둘다)

8. 발생증기량의 측정 : 발생 주증기량은 일반적으로 급수량 

9. 증기의 건도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 강제 보일러의 건도는 0.98, 주철제 보일러는 0.97로 한다. 

10. 폐열회수장치가 없으면 과열기 앞으로 배기가스 온도 측정, 있다면 공기예열기 뒤에서 배기가스 온도 측정 

 

예상문제 (오답)

1. 1BHP(보일러마력)을 옳게 설명한것은? - 100°C의 물 15.65kg을 1시간에 같은 온도의 증기로 바꿀수 있는 능력이다. 

2. 보일러 증발배수 = 매시 실제증발량 / 매시 연료소모량 

3. 보일러 전열효율 = (증기발생에 이용된열 / 보일러실에 공급된 열) x 100 

4. 보일러 용량 단위 : kg/h, ton/h, kcal/h

5. 보일러 연소배기가스의 분석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 연소의 합리화 도모 및 공기비 산출 

6. 보일러의 용량을 표시하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상당증발량이다. 

7. 증기 순환열 = 연료 1kg의 발생증기량 x (증기엔탈피 - 급수엔탈피)

8. 50kw의 전기 온수 보일러 용량을 kcal/h로 나타내면 

1[kw-h]=860kcal, 50 x 860 = 43,000kcal/h

9. 온도 25°C의 급수를 받아 압력 15, 온도 300°C의 증기를 1시간당 10,780 발생하는 경우의 상당증발량은? (단 발생증기의 엔탈피는 725이다)

- Ge = G(h2-h1)/539 = 10,780(725-25)/539 = 14,000kg/h

10. 매시간 1500의 연료를 연소시켜서 시간당 10000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의 효율은 약 몇 프로인가 (단, 연료의 발열량은 6000, 발생증기의 엔탈피는 742,급수의 엔탈피는 20이다)

- (10,000(742-20)/1500x6000)x100 = 80

11. 보일러의 연손실 종류 중 일반적으로 손실량이 가장 큰 것은 배기가스에 의한 열손실로 16~20%로 가장 크다. 

12. 어떤 보일러의 연소효율이 92%, 전열면효율이 85%이면 보일러 효율은? 

- 0.92 x 0.85 = 0.782 = 78.2% 

13. 보온하기전에 손실되는 열량이 600 인 증기관을 보온한 후 손실열량을 측정하였더니 열손실이 100이었다. 이 보온재의 보온효율은

- (600-100/600)x100 = 83.3%

14. 보일러 열정산 시 시험부하는 정격부하에서 시험한다. 

15. 효율이 85%인 보일러를 발열량 9800의 연료를 200 연소시키는 경우의 손실열량은?

손실율 15% - 200 x 9800(1-0.85)=294,000

16. 보일러 용량 표시 = 상당증발량, 보일러마력, 전열면적

17. 보일러의 연손실 = 과잉공기에 의한 손실열, 배기가스에 의한 손실열, 방사열에의한 열손실, 미연탄소분에의한 손실열 

18.연소실 연부하율 단위 : kcal/m^3h

19. 열정산의 목적 = 열의 손실파악, 열설비 성능파악, 조업방법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