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실에서는 비상샤워를 몇 미터 이내에 설치해야 할까요?
답:15m
2. 부식성물질은 금속을 쉽게 부식시키고 인체에 접촉하면 화상 등 상해를 입히는 물질로 산류와 염기류가 있다.
답:o
3. 과산화물을 보관하는 용기의 재질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답:금속
4. 유기용제에 노출되어 급성영향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세가 아닌 것은?
답:기억력 감퇴
5. 과산화물에 대한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답:과산화물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은 개봉 후 3개월 또는 6개월 내에 폐기처리한다.
6. 화학물질과 관련된 법령이 아닌 것은?
답:원자력안전법
7. 화학/화공 연구실에서 취급하는 유해물질의 종류에는 유기용매, 산, 산화물질, 촉매물질, 고분자단량체등이있다.
답:o
8. 유해한 화학물질이 노출되는 경우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정도를 유해성이라고 한다.
답:x
9. 액체폐기물이 발생하여 pH를 측정해 보았더니 pH13으로 측정되었다면 어떤 폐기물로 처리해야 되는가?
답:폐알칼리
10. 대기압 하에서 인화점이 65도 이상인 가연성 액체로 쉽게 점화되어 연소하는 것을 인화성물질이라고 한다.
답:x
11. 다음 중 화학물질에 따른 영향 및 증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답: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에 접촉 시 감각 및 운동신경의 반응성이 감소할 수 있다.
12. 화학물질에 의한 인체 노출 및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답:유해성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사용하지 않는다
13. 다음중 경고표지에 기재해야 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답:물리적독성
14. 다음중 화학물질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답:화학물질은 잠금장치가 되어있는 안전한 캐비닛에 보관한다.
15. 다음 유기화합물 중 말초신경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은?
답:케톤류
16. 종류가 다른 소량 유해화학물질을 같은 보관시설 안에 보관해야할 경우 조치사항으로 올바른 것은?
답:화학물질간의 반응성을 고려하여 칸막이나 바닥의 구획선 등으로 구분한다.
17. 연구실에서 사고예방을 위한 활동으로 틀린 것은?
답:화학물질 취급 시에는 반드시 손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갑만 착용하면 된다.
18. 일반적인 화학물질 저장 시 주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답:환기가 잘되고 직사광선에 노출된 곳에 보관한다.
19.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유해화학물질이란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또는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그 밖에 유해성 또는 위해성이 있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답:o
20. 물질안전보건자료는 16가지 항목으로 되어있는데 다음중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답:폭발조건에 관한 정보
'실험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2기 [연구실 안전교육] 2022 안전의식 (0) | 2022.11.22 |
---|---|
2022-2기 [연구실안전교육] 2022 사전유해인자교육 (0) | 2022.11.19 |
2021-1기 [LMO안전교육] LMO연구활동종사자 교육 (0) | 2022.05.12 |
2022-1기 [LMO안전교육] 2022 LMO연구활동종사자 보수교육 (1반) (0) | 2022.05.12 |
2022-1기 [연구실안전교육] 2022 화학 (1반) (0) | 2022.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