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실 교육

2022-1기 [연구실안전교육] 2022 화학 (1반)

탐스터 2022. 5. 12. 10:20

1.     유기용제에 노출되어 급성영향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세가 아닌 것은?

: 기억력 감퇴

 

2.     사고 발생시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연구활동종사자로서의 행동으로 틀린 것은?

: 사고대응장비는 연구실안전관리담당자만 아는 곳에 보관한다.

 

3.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유해화학물질이란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또는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그 밖에 유해성 또는 위해성이 있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 O

 

4.     불산이 피부에 접촉되었을 때 대응방법으로 틀린 것은?

: 물에 씻기전에 접촉된 피부에 불산중화연고를 발라준다.

 

5.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유해화학물질을 취급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자는 얼마의 주기로 자체점검을 실시해야 하는가?

: 1회 이상

 

6.     과산화물에 대한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과산화물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은 개봉 후 3개월 또는 6개월 내에 폐기처리한다.

 

7.     증류실험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가능성이 아닌 것은?

: 액체질소 사용 중 폭발 가능성

 

8.     수은이 누출되었을 때 수은을 고형화 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은?

: 황가루

 

9.     화학물질을 제조, 수입하려는 자 관련 화평법에 따라 화학물질 등록 등 면제가 되는 화학물질 종류가 아닌 것은?

: 국내에서 전량 사용하기 위해 제조 또는 수입하는 화학물질

 

10.  일반적 화학물질의 특성에 따른 분류 중 가열, 마찰, 충격 또는 다른 화학물질과의 접촉 등으로 인하여 폭발 등 격렬한 반응을 일으킬수 있는 물질은?

: 폭발성물질

 

11.  유해한 화학물질이 노출되는 경우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정도를 유해성이라고 한다.

: X

 

12.  연구소의 시범 생산시설이 있는 신규 Pilot Plant의 정기검사 주기는 얼마일까요?

: 2

 

13.  다음 중 산소농도가 18미만이거나 유해물질 농도와 독성이 높은 곳에서 사용해야 하는 호흡보호구의 종류는?

: 공기공급식

 

14.  휘발성이 큰 에스터류와 케톤류에 가장 접학하고 가솔린, 할로젠화 탄화수소류에 취약한 내화학성 보호장갑의 재질은?

: 부틸고무

 

15.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외국에서 화학물질을 수입하려는 연구활동종사자가 해야하는 것은?

: 화학물질 확인

 

16.  위험물관리법에 따른 위험물은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는 화학물질이다.

: O

 

17.  다음 중 화학물질에 따른 영향 및 증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에 접촉 시 감각 및 운동신경의 반응성이 감소할 수 있다.

 

18.  연구실에서 폐액처리 시 성상이 다른 폐액을 혼합하였을 때 대응요령으로 틀린 것은?

: 폐액용기의 뚜껑을 꼭 닫아 밀폐해야 한다.

 

19.  화학물질에서 생성되는 가스 및 증기를 없애주는 후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며 후드 안으로 머리를 넣어 실험을 진행한다.

 

20.  GHS/MSDS의 유해/위험성 분류에 관한 기준 원칙이 아닌 것은?

: 전문가의 경험에 의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