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공부

[에너지관리기능사] 보일러 부속장치 필기 & 예상문제 정리

탐스터 2023. 6. 6. 21:44

CH03. 보일러 부속장치 

1. 안전밸브의 설치개수 

*증기 보일러 2개 이상 설치 / 전열면적 50m^2이하 증기 보일러 1개 이상 

*증기부에 수직으로 직접 설치 / 배관에다 설치하면 간접 설치

2. 안전밸브의 초과 범위 

*처음의 것은 최고사용얍력 이하에서 분출되어야 한다. (2개 일때의 경우)

* 나중의 보조 안전밸브는 최고사용압력 1.03배 이하에서 분출되어야 한다. (최고사용압력의 3%)

3. 안전밸브의 호칭 크기 

*A = mm , B = inch 

*호칭 지름 25mm 이상이어야 한다. (기본)

* 소용량 보일러는 20mm 이상일수도 있다. 

조건 1, 2, 5 이하 

4. 스프링식 안전밸브

①저양정식 : 밸브디스크 지름의 1/40 ~ 1/15 의 것 

②고양정식 :          "                  1/ 15 ~ 1/ 7

③전양정식 :           "                 1/7 이상인 것 

④전양식 :  밸브시트구에 있어서 증기의 통로면적이 다른 최소의 단면적의 통로면적보다 큰 것 ( 변좌지름이 목부지름의 1.15배 이상)

5. 고저 수위 경보기 : 자동적으로 경보가 울리는 장치이며 경보가 울린 후 50~100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연료공급이 차단된다. 

기계식 : 맥도널드식(플로토식), 자석식 

전극봉식 : 관류 보일러용 

코프식 : 금속의 열팽창을 이용한 방식

차압식 

6. 방출밸브 

온수 보일러에서 최고사용압력의 초과 시에 보일러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한 고온수 배출기구의 안전장치 

① 120℃이하 온수 보일러

방출 밸브 지름 20mm 이상 

② 120℃이상 초과시 온수 보일러

안전밸브를 설치하고 지름 20mm 이상 

7. 방출관의 크기 

전열면적 (m^2) 방출관의 안지름 (mm)
10 미만 25 이상
10 이상 ~ 15 미만 30 이상
15 이상 ~ 20 미만 40 이상 
20 이상  50 이상 

8. 가용마개 : 저수위 사고 방지용 , 관수의 이상 감수시 보일러 수위가 안전 저수위 이하로 내려갈 때 과열로 인한 동의 파열이나 압궤 등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안전장치기구. 재질은 주석과 납의 합금 등으로 되어있다. 

9. 방폭문 : 연소실 내 미연가스 (CO) 에 의한 폭발이나 역화의 발생 시 그 폭발을 외부로 배출시켜서 보일러 손상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 

스프링식 (밀폐식) : 압입통풍에 많이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노통연관 보일러 등에 설치한다. 

스윙식 (개방식) : 자연통풍 시에 많이 사용하며 주철제 보일러 등에 설치하며 충격 진동 등에 의한 주철의 균열방지용으로 쓰인다. 

10. 화염 검출기 : 미연소가스의 폭발 방지

①스택 스위치 : 연소실의 배기가스가 연도를 지나면서 그 연도가스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연소 상태를 검출하는 기구로서 저압 보일러 또는 소형 온수기나 소형 온풍로에 많이 쓴다. 화염의 발열체. 사용온도 : 300~550℃

②플레임 아이 : 연소실, 광전관은 물체에 빛이 닿으면 광전자를 방출하는 현상을 이용한 화염검출기이며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여 화염의 상태를 파악한다. 화염의 발광체, 작동속도가 빠름. 

종류: cds 셀, pbs 셀, 적외선광전관, 자외선광전관

③플레임 로드 

내열성 금속인 스테인리스, 칸탈 등으로 된 막대로 불꽃 속에 직접 넣어서 불꽃의 유무를 검출한다. 

화염의 이온화, 전기 전도성, 가장 고온에서 사용된다. 

④자외선 검출기

불꽃의 파장 분포 가운데서 자외선 영역의 특정파장을 압력으로 하여 동작하는 검출기, 백열전구. 형광전구에는 응답하지 않는다. 

11. 급수탱크 

-강판으로 제작하며 용량은 1일 최대 증기 사용량의 1시간분 이상의 용량이 되어야 한다. 

- 급수탱크에서는 과대급수로 인한 오버플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액면의 제어용인 플로트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12. 급수장치 : 급수펌프, 환수탱크 (리턴트랩), 인젝터 (소형) 

①급수펌프 

구비조건 : 고온이나 고압력에 견뎌야 한다. 부하 변동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병열운전 시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종류 

-원심펌프 

1) 벌류트 펌프 : 안내 날개는 설치하지 않고 양정 20m 이하의 저양정에 사용하는 펌프 

2) 다단터빈펌프 : 안내 날개가 있으며 양정 20m 이상의 고양정에 사용하는 펌프 

-왕복동펌프

1) 플런저 펌프 : 전동기의 회전에 의해 플런저가 움직여서 왕복운동으로 급수가 된다. 

2) 워싱턴 펌프 : 비동력 펌프, 증기의 압력을 받아 급수한다. 고점도에 액체 수송에 적합하다. 

3) 웨어펌프 : 피스톤이 1조 뿐이다. 고압용에 적당 

4) 피스톤 펌프 

②인젝터 (소형 급수설치, 급수 보조장치) : 증기의 분사에 의해 속도 에너지 -> 운동에너지 -> 압력에너지 (진공상태) 로 변화시켜 급수를 행하는것 

종류 : 메트로폴리탄형 (급수가 65℃ 이상이면 불가능), grasham형 (급수가 50℃ 이상이면 불가능)

*메트로폴리탄형 : 급수된 물이 뒤로 더 안나오게 하는 역지판이 설치되어있다. 

노즐 : 증기노즐, 혼합노즐, 토출노즐 

장점 : 구조가 간단하다. 소형이다. 자송가 좁아도 된다. 동력이 필요없다. 급수가 예열되어 열효율이 좋다. 

인젝터 작동불능의 원인 

1) 급수의 온도가 50℃ 이상일때 

2) 증기압이 2kg/cm^2 이하이거나 10kg/cm^2이상일때 

3) 공기가 누입할때 (진공이 안잡혀서)

4) 관속에 불순물이 투입할때

5) 인젝터과 과열일때 

6) 증기 속에 수분이 과다할때 

7) 역정지변이 고장일때 

*인젝터의 작동순서 

1) 출구 정지밸브를 연다. 

2) 흡수 밸브를 연다

3) 증기밸브를 연다

4) 핸들을 연다. 

③환원기

무동력, 응결수 탱크로서 보일러 상부 1m 이상 위치에서 증기의 압력과 물의 압력으로 급수하는 소용량이다. 

④급수량계

보일러 급수의 양을 측정하는 계기는 거의가 용적식 유량계로서 오벌식과 루츠시을 쓴다. 

캐비테이션 현상 (공동현상) : 관내의 유체가 급히 꺽어져 흐를 시 압력이 저하할 때 관수 중의 기포가 분리되어 오는 현상 ( 펌프의 흡입쪽에서 생김)

서징 현상 ( 맥동현상) : 공동현상에 의하여 발생된 기포의 흐름이 정상으로 돌아올때 기포가 깨지고 맥동현상을 일으키는것 (펌프 출구쪽에서 생김), 압력계의 지침이 흔들린다. (맥동)

둘다 소음, 진동이 발생한다. 

방지방법 : 펌프의 회전수를 줄인다. 유속을 느리게 한다. 수원과 가깝게 설치한다. (흡입되는 거리 짧게)

⑤환수탱크 (리턴트랩)

배관중에 모인 응축수를 회수하여 보일러의 동내로 공급하는것 

⑥급수정지 밸브

보일러 내에 급수되는 급수량을 조절하고 차단하는 밸브, 급수정지 밸브 옆에 급수의 역류방지를 위한 역정지 밸브(체크밸브)도 함께 설치한다. 보일러 가까이에는 급수정지 밸브, 먼거리에는 역정지 밸브

*역정지밸브 (체크 밸브) - 스윙식 (수직, 수평 배관 사용), 리프트식 (수평만 가능) 

급수밸브 크기 

- 전열면적 10m^2 초과 : 20A 이상 

- 전열면적 10m^2 이하  : 15A 이상 

⑦급수내관

보일러 증기드럼에 물을 급수할때 너무 위에서 급수하면 부동팽창이 일어나고 너무 낮게 급수하면 대류작용을 방해하기 때문에 안전 저수위 이하에서 물을 골고루 뿌리는 기구인 둥근 관. 설치 위치는 정확히 안전 저수위 하방 50mm이다. (약간 아래라고 표현하기도 함) 

13. 분출장치

종류

1) 수면 분출장치 (자동, 연속) : 포밍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저수위 선상에 부착하며 분출관과 분출밸브 또는 분출콕으로 연결되어 있다. (물보다 가벼움)

2) 수저분출장치 (수동, 간헐, 단속 분출장치) : 관수중의 불순물 농도를 저하시키며 또한 ph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분출관, 분출밸브 또는 분출콕 등을 설치하여 동하부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장치 (물보다 무거움)

분출의 목적 

1) 동저부의 스케일 부착 방지 

2) 관수의 ph조절 (10.5~ 11.8ph) 약 알카리

3) 관수의 농축 방지 (찌꺼기 방치 않게 하기 위해 

4) 프라이밍, 포밍 방지

5) 세관작업 후 불순물 제거 

6) 가성취화방지 ( 청관제가 계속 들어가서 ph12 이상이 되는것) 

분출시기 

1) 보일러 가동직전 

2) 연속 가동 시 열부하가 가장 낮을 때 

3) 비수나 프라이밍이 일어날때 

4) 근무자가 농축이 지나치다고 생각이 될 때 

분출작업시 주의사항 

1) 작업시 2인 1조로 하여 이상 검수를 방지한다. ( 물높이 주시, 밸브 열어 찌거기 제거)

2) 가능한 한 신속하게 하여야 한다. 

3) 분출 시에는 콕을 먼저 열고 밸브를 나중에 연다. 

4) 2대의 보일러를 동시에 분출하여서는 안된다. 

14. 오일 프리히터 (열원에 의한 가열방식 ) : 증기식, 온수식, 전기식 

버너 입구전에 최종적으로 전열기에 의해 (또는 증기식) 연료를 가열하여 점도를 낮추어서 무화 (분무)를 양호하게 하는 기구

예열온도 : 80~90℃ (인화점보다 5℃ 낮게)

가열온도가 낮으면 : 무화 불량, 불길이 한쪽으로 흐른다. 그으름 분진이 발생한다. 

가열온도가 높으면 : 관속에서 분해가 일어난다. 분무량이 흐트러진다. 탄화물이 발생한다. 

15. 서비스 탱크 

저유조에서 적당량 (2시간~1일분)을 수용하여 버너에 공급하는 유류탱크 

설치위치 : 버너선단에서 1.5~2m 상단 높이

16. 여과기 (오일 스트레이너)

연료속의 불순물 방지, 유량계 및 펌프의 손상방지, 버너 노즐 폐색 방지 

종류 : U, V, Y 자형 여과기

여과망 : 유량계전에는 20~30 메시 사용 (구멍 큼), 버너 입구에는 60 ~120 메시 사용 (구멍 작음)

17. 전자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 보일러의 이상 감수시나 유사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연료를 차단하는 밸브

18. 오일 펌프

1) 원심펌프 : 저점도의 유체에 적합, 밸브의 조절이 양호

2) 기어펌프 : 고점도의 유체 수송에 적합

3) 스크루펌프 : 고속회전에 적합, 고양정이 가능, 고점도 유체 가능, 95℃ 까지 고온에도 수송 가능

19. 비수방지관 (원통형 보일러에서 사용)

둥근 보일러에서 부착하며 동 내부의 증기취출구에 부착하여 송기 시 비수 발생을 막고 캐리오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멍이 뚤린 횡관을 설치한것. 내관의 구멍 총면적이 주 증기 정지밸브 면적의 1.5배 이상이 되도록 설계된 기구 

20. 기수 분리기 (습증기 발생 방지, 건조 증기를 얻으려고 수관식 보일러에 설치)

고압수관 보일러에서 기수 드럼 또는 배관에 부착하여 승수관을 통하여 상승하는 증기 중에 혼입될 수적을 분리하기 위한 부속기구 

1) 스크레버형 : 다수의 강판을 조합하여 만듦

2) 사이클론형 : 원심분리기를 사용한 것 

3) 배플형 : 방향의 변화를 이용 한 것 

4) 건조 스크린형 : 금속의 망을 이용한것 (금속망판)

장점: 워터 해머 방지 

21. 주증기밸브 : 일반적으로 글로브 (유량조절이 가능) 앵글( 90도 방향 전환이 가능) 밸브 (스톱밸브)를 사용하며 최소한 7kgr/cm^2이상의 압력에 견디어야 한다. 밸브 한바퀴 돌리는 데 3분 이상 걸려야 한다. 

22. 신축관 (신축 조인트) : 증기나 온수의 송기 시에 고온의 열에 의한 관의 팽창으로 관 또는 증기 계통의 부속기구에 악현상을 초래하는 것을 흡수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신축 조인트.

종류

1) 미끄럼형 (슬리브형) : 압력이 5, 10kg/cm^2용, 저압증기 및 온수배관의 신축이음에 적합한 실내용 (단식: 한쪽으로만 흡수, 복식: 양쪽으로 흡수) 

2) 파상형 (벨로스형) : 청동이나 스테인리스로 제작한 저압 증기용. 옥내용이며 관의 온도 변화에 따라 관의 신축을 벨로스의 변형에 의해 흡수시킨다. 그으름이 있다. 

3)루프형 (만곡형) : 장소를 많이 차지하여 옥외 설비용. 강관을 원형으로 굽혀서 제작하며 고압에 많이 필요하고 고장이 적다. R > 6D ( R은 반지름, D는 관의 두께) 

4) 스위블이음 (스윙형) :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 나사의 회전에 의해 신축이 흡수되며 저압의 증기 및 온수난방에 사용된다. 라디에이터에 많이 사용 (방열기) 

23. 증기헤더 (증기저장고)

주 증기 밸브에서 나온 증기를 잠시 저장한 후 각 소요처에 증기량을 조절하여 보내주는 설비. 송기 정지 용이. 불필요한곳에 송기하지 않아 열손실 방지.

24. 배관내의 유체 표시 약자 

공기 : A , 증기 : S, 기름 : O, 물 : W, 가스 : G

25 . 증기 축열기 (스팀 어큐뮬레이터)

여분의 발생증기를 일시 저장하며 잉여분의 증기를 물탱크에 저장하여 온수로 만든 후 과부하 시에 방출하여 증기의 부족량을 보충하는 기구이며 송기계통에 설치하는 변압식과 급수계통에 설치하는 정압식이 있다. 여분의 증기를 물에 저장하는 것

26. 증기 트랩 (스팀트랩)

구비조건 * 저항이 나오면 어떤것이든 작을것. 

1) 유체에 대한 마찰저항이 적을것

2) 공기빼기를 할 수 있을 것 

3) 작동이 확실할 것

4) 내식성이 클 것

증기트랩 부착 시 장점

1) 워터 해머(수격작용) 방지

2) 응축수에 의한 부식 방지

27. 증기트랩의 종류

①기계식 트랩 (비중차 이용)

상향 버킷식, 하향 버킷식, 프리 플로트형, 레버 플로트형 

②온도조절식 트랩 ( 응축수와 증기 온도차 이용)

벨로스식 트랩, 바이메탈식, 열역학적 및 유체의 역학을 이용한 것 (압력, 밀도 - 디스크식, 오리피스형)

28. 감압밸브

증기 통로의 면적을 증감하여 유속의 변화을 일으켜서 고압의 증기를 저압의 증기로 만드는 밸브

목적 : 고정적인 증기압력을 유지한다. 고압, 저압의 증기로 동시에 사용 가능하다. 

종류 : 스프링식, 다이어램프식, 추식, 스프링식, 벨로우즈

설치시 주의사항 : 감압변의 전후에 압력계를 단다., 감압변 전에는 여과기와 기수분리기를 설치한다. 바이패스 라인을 설치한다. (고장대비) 바이패스 관의 직경은 주관 직경의 1/2 이어야 한다. 

바이패스 설치 이유 : 주요장치의 분해, 수리를 원활이 하고 유채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기 위하여 설치 

29. 통풍장치 

1) 자연통풍 : 비중차를 이용한 방식, 통풍력은 연돌의 높이, 배기가스 및 외기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배기가스 유속 3~4m/sec

2) 강제통풍 

종류

1) 압입통풍 (연소실 앞에 설치) : 연소용 공기 예열, 노 내압 정압이 유지된다. 배기가스 유속 6~8m/sec

2) 흡입통풍 (유인통풍) :압입식에 비해 통풍력이 높다. 부압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 단점: 배기가스에 의한 마모가 많다. 연도에 설치해야 한다. 배기가스 유속 10m/sec

3) 평형통풍 (압입 + 흡입) : 보일러 전면, 후면에 각 송풍기 및 배풍기를 부착한 병용식 통풍방식. 대형 보일러에 적합하다. 노내압력 조절이 용이. 대기압을 유지. 배기가스의 유속 10m/sec이상이나 숫자가 특정되면 틀린것

30. 풍량 및 통풍조절

1) 전동기의 회전수에 의한 조절방법 (원심식 송풍기 풍량조절 방법)

-제작 시 경비가 많이 든다.

-부착 시 면적을 많이 차지한다.

-저부하시 제어가 용이하다. 

2) 댐퍼를 통한 조절방법

-운전효율이 나쁘다

-불필요한 동력이 낭비된다.

-조절방식이 매우 간단하다.

3) 섹션 베인의 개도에 의한 방식

-제작비가 적게 든다.

-조작이나 취급이 용이하다.

-설치시 면적을 적게 차지한다.

-가동시 효율이 가장 좋다.

-풍량의 제어에 적합하다. (약 60-70%)

31. 축류식 송풍기의 풍량조절방법

-가변피치(날개각도의 변화)에 의한 제어

32. 통풍력 계산 

1) 자연통풍력의 상승조건

-배기가스의 온도가 높을수록

-외기의 온도가 저하될수록 (내외온도차)

-연돌의 높이가 높을수록 (4-50m)

-연돌의 단면적이 클수록 (상부 단면적)

-연도의 굴곡부가 적어야 한다.(3개소 이내)

2)통풍력 계산

- 온도 비중 다 알려줄때 

이론 통풍력(Z) = 273H[ra/(273+ta)-rg/(273-tg)]mmH2O

-비중만 알려줄때 

이론 통풍력(Z) = H(ra-rg)mmH2O

T1,T2는 절대온도(273+섭씨온도)K이다. 

-실제 통풍력(Zp)= 355xH[1/(273+ta)-1/(273+tg)] or = 이론통풍력 x 0.8

온도는 섭씨온도 

ta = 공기온도 , tg = 배기가스온도 

33. 연돌상부단면적(F) = Gx(1+0.0037t)/3,600V(m^2)

G : 유량 (배기가스의 양) , tg : 배기가스의 온도(℃)

34. 송풍기의 종류 

1) 원심형 

풍압 효율 : 터보 > 플레이트 > 시로크

-시로크형 (다익형이며 전향 날개형, 흡입통풍형)

날개 60-90개 정도, 소음이 적고 설치시 면적을 적게 차지한다. 풍량의 변화에 대하여 풍압의 변화는 적은편, 고속운전에 부적당 구조 약해

-터보형 (후향 날개형, 압입통풍형)

압입통풍에 많이 사용, 내마모성이 좋다. 풍량의 변화에 대한 풍압의 변화 적다. 날개의 수 약 8-24매 

-플레이트형 (경향 날개형, 흡입통풍형)

배기가스 흡출용, 구조가 매우 견고하고 내마모성, 날개의 고장시 교체가 용이, 내마모성이 크고, 부식이 많은 곳에서도 잘 견딘다.

2) 축류형

-디스크형

저압용

-프로펠러형

대용량 보일러 압입식 송풍기, 옥외용

35. 링겔만 매연 농도표 

0 ~ 5까지 숫자가 커질수록 농도가 짙어지고 2초과는 합격할수 없다. 

-측정하는 굴뚝으로부터 39m 떨어진곳에서 측정, 매연농도표는 측정자 위치에서 굴뚝 쪽으로 16m의 거리에 측정자의 눈의 위치 

연기의 측정 시 측정기준은 연돌정상에서 30-40m의 높이를 기준 

36. 매연 발생 원인

통풍력이 부족하거나 산소 공급 부족, 무리하게 연소할때 , 유온 및 유압이 부족할때, 연소기구 불량, 저질연료가 연소할때 

37. 매연농도계 : 바카라치 스모그 테스터, 10단계로 되어있고 4번 이하로 측정되야 통과할 수 있다. 

38. 집진장치의 종류별 특성 

<건식>

1) 중력식 집진장치 : 자연적으로 침강

2) 관성식 집진장치 : 배기가의 기류에 급격한 방향전환을 주어서 입자의 관성력에 의해 집진시켜 입자와 분리 (종류: 충돌식, 반전식)

3) 사이클론식 집진장치 : 선회운동을 주어 하강시킨 후 연소가스중의 입자가 원심력에 의해 벽면에 충돌하게 되면 입자가 침강되고 청정가스는 상승하여 외부로 분리되는 집진장치 

4) 멀티사이클론 집진장치 

5) 블로다운형 집진장치

6) 표면여과 집진장치 (백필터식) : 여재 표면에 초층을 형성하여 그 사이를 통과할 때 집진되는 방식

7) 내면 여과법 집진장치 : 유리섬유와 광면재 등을 사용하여 그 섬유층 내부에 배기가스를 통과시킨 후 여과 집진시키는 방법

<습식>

1) 저유수식 집진장치 

2) 가압수식 집진장치 : 물을 가압 분사시킨후 연소가스를 투입시켜 충돌이나 확산시켜 포집하는 방식 

종류: 사이클론 스크레버식 (물을 이용), 벤투리 스크레버식, 충전탑(세정탑), 제트 스크레버식 

3) 회전식 집진장치 : 물을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분산시켜서 송풍기의 풍량으로 그 수적을 연소가스 중에 불어넣어서 접촉한 후 포집시키는 방식 

종류: 임펠스 스크레버식 (충격식), 타이젠 와셔식 

<전식>

1) 전기식 집진장치 : 집진기 내에 방전극과 집진극을 만들어서 방전극 측에 많은 볼트의 전압을 걸어 양극간에 일어나는 코로나 방전을 부여하고 이 대전입자를 정전기력에 의해 분리

종류: 코트렐식 

39. 폐열회수장치 

과열기, 재열기, 절탄기, 공기예열기 

1) 방사 과열기 : 연도 입구의 노벽에 설치 

2) 접촉 과열기 : 연도에 설치하는 과열기

3) 복사(방사)접촉 과열기 : 노벽과 연도 입구 사이에 부착하는 방법 

과열기 부착 장점 : 보일러 열효율 증대, 증기의 마찰손실 감소, 부식의 방지, 이론상의 열효율 증대 

흐름방향에 따른 분류 : 병류, 향류, 혼류 

4) 재열기 : 과열증기로 재차 가열시킴

5) 절탄기 (이코노마이저) : 급수의 예열기구 

종류 : 강관형, 주철제형 

부착시장점 : 부동팽창의 방지, 보일러 증발능력 증대, 일시 불순물 및 경도성분 와해, 보일러 효율 및 증발력 증대, 연료의 절약

6) 공기예열기 : 배기가스의 어열을 이용하여 연소실에 투입되는 공기를 예열

종류: 전열식 (강관형, 강판형), 재생식(=축열식, 회전식 고정식), 히트파이프식 

설치시장점 : 노 내의 온도상승으로 연소가 잘된다. 저질 연료의 연소도 가능하다. 보일러 효율 향상, 과잉 공기량을 줄여도 된다.

단점: 통풍력이 저하된다. (배기가스 원활하지 않아), 부식발생 

40. 보일러 수면측정장치 : 보일러 속 관수의 수위를 나타내는 기구

수면계의 종류

1) 유리수면계 (구형 수면계) - 저압(10kg/cm^2 이하)에 사용하며 수면계의 최상부는 최고수위에 일치하며 수면계 하단부는 안전 저수위에 해당한다. 

2) 평형반사식 수면계 - 사용압력 16kg.cm^2 이하, 25kg.cm^2 이하 

3 ) 평형투시식 수면계  - 사용압력 45kg.cm^2 이하, 75kg.cm^2 이하 

4) 멀티포트식 수면계 - 고압용 수면계

5) 차압식 수면계 - U자관의 형식으로 내부에 수은을 봉입하여 수은의 차압을 측정

6) 2색 수면계 - 증기부가 적색, 수부가 녹색 

41. 사용수위 : 수면계에 표시하여야 하며 가장 이상적인 수위의 높이 

42. 점화장치 (착화버너)

오일버너 : 10,000 ~ 15,000V , 가스버너 : 5,000 ~ 7,000V (불을 한번에 붙이기 위한 높은 전압)

43. 수트 블로어 (수관식 보일러에만 사용)

:연소가 시작되면 분진, 회 , 클링커, 탄화물, 카본, 그을음 등의 부착으로 열전도가 방해되어 매연 분출기로 그을음을 불어내기 위한 기구, 관형의 공기예열기에 부착된 그을음 제거기가 에어히터 크리너형 

44. 매연분출기 (수트 블로어)

종류 

1) 고온 전열면 블로어 : 롱 리트랙터블형

2) 연소노벽 블로어 : 쇼트 리트랙터블형 

3) 전열면 블로어 : 건타입형 

4) 저온 전열면 블로어 : 로터리형 

5) 공기예열기 클리너 : 롱 리트랙터블형, 트래블링, 포레임형 

사용시 주의사항 

1) 보하가 50% 이하일때는 수트 블로어 사용 금지 (증기량이 적을때, 열이 적을때 사용 x)

2) 분출 시에는 유인통풍을 증가시킬것 

3) 분출 전에는 분출기 내부의 드레인을 제거 (건조증기식열시에)

4) 고온부 -> 저온부로 이동하며 제거, 한 곳에 집중 사용하면 안됨 ( 부동팽창 유발) 

45. 안전장치 종류 : 안전변, 화염검출기, 고저수위경보기, 가용전, 방폭문, 전자변, 압력제한기, 압력조절기, 팽창변

46. 송기장치 : 주증기변, 기수분리기, 비수방지관, 신축조인트, 감압변, 스팀헤드, 증기트랩

 

예상문제 (오답)

1. 배관에 증기트랩을 설치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증기관 속의 응결수를 배출하기 위해서이다. 

2. 난방용 방열기에 사용되는 증기트랩으로 직각(앵글)형과 직선(스트레이트)형으로 구분되는 트랩은? - 실로폰트랩 

실로폰트랩은 난방용 방열기에 사용되는 증기트랩

3. 증기트랩은 어떠한 경우에도 마찰저항이 작아야 한다. 

4. 과열증기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 - 댐퍼의 개도조절 

5. 무동력 펌프 : 인젝터, 워싱턴펌프, 웨어펌프 

6. 수관식 보일러 전열순서 : 증발관 -> 과열기 -> 절탄기 -> 공기예열기 

7. 폐열회수장치 설치순서: 전열관 -> 과열기 -> 재열기 -> 절탄기 -> 공기예열기 -> 연돌

8. 연소가스 배기 순서 : 증발관 -> 과열기 -> 절탄기 -> 공기예열기 

9. 전열방식의 과열기 : 복사, 대류, 복사대류과열기 

    열가스 흐름방식에 의한 과열기 : 병류, 향류, 혼류 

10. 방열기 자체의 신축에 의한 변위를 흡수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신축이음 종류,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하여 나사부의 회전에 의해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것으로 나사이음이 헐거워지면 누설의 우려가 있고 온수난방 방열기 배관에 주로 사용되는 신축조인트는 - 스위블 이음 , 스위블형 

11. 방열기 설치라인 주위에 설치하는 신축이음 - 벨로스 이음 

12. 슬루스 밸브 특징 : 유량 조절용으로 부적합, 차단밸브용, 물, 오일 등의 유체배관에 용이, 파이프 축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개폐, 마찰저항 손실이 적다. 

13. 안전밸브의 종류 : 레버식, 스프링식, 추식, 복합식

14. 부르동관 압력계 사이펀관 내부에는 물이 들어있고 고온의 증기가 부르동관에 직접 들어가는것을 방지한다. 

15. 사이펀관과 특히 관계가 있는것 - 탄성식 압력계, 부르동관 압력계 

16. 저수위 사고와 연도 댐퍼 차단과는 연관성이 없다. 

17. 공기예열기에서 배기가스의 온도가 30도 감소하면 열효율은 1-2% 증가한다. ( 100도 = 4-5도)

18. 유전자밸브는 압력이 초과하거나 저수위 사고등이 있을대 연료공급을 직접 차단하여 보일러 사고를 사전에 예방한다. 

19. 자동급수 조절기 : 플로토식, 코프식, 전극식, 차압식

20. 열교환기 용도 : 증발 및 응축, 냉각 또는 가열, 폐열회수

21. 열동식 트랩은 방열기 출구에 설치되어 응축수만을 보일러에 흡수 시키는 역할

22. 원심식 송풍기의 풍량조절방법 - 회전수의 변경, 댐퍼의 개폐, 흡입 베인의 개폐 

23. 흡입통풍 - 굴뚝 및 흡출송풍기 부착 

24. 건식 집진장치 - 백 필터

       세정식(습식) 집진장치 - 베트 스크러버, 타이젠 와셔식, 벤투리 스크러버 

25. 가압수식 세정집진장치 - 벤투리 스크러버, 사이클론 스크러버, 세정탑식 집진장치, 제트 스크러버 

26. 연료저장탱크로부터 예열기까지 공급되는 중유의 점도를 낮추어 유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증기로 가열하는 배관의 명칭은 - 이중 재킷배관

27. 연속 분출장치는 보일러 동 수면 위에 있는 부유물 또는 농축수를 분출시키는 수면 분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