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01. 열 및 증기열역학
1 ) 섭씨온도(℃) = 5/9(화씨온도-32) = (℉-32)/1.8
2) 화씨온도(℉) = 9/5 x ℃ +32 = ℃ x 1.8 +32
영하 -40℃ = -40℉ 두개의 온도가 같아진다.
3) 켈빈의 절대온도(K) : 섭씨온도 + 273
4) 랭킨의 절대온도(R) : 1.8K
5) 압력 :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힘의 크기
표준대기압 (atm) > 공학기압 (at)
1.0332 kg/cm^2 1
10.332 mH2O. 10
760 mmHg. 735.5
6) 절대압력 = 완전 진공상태를 0으로 기준하여 측정한 압력
절대압력 = 대기압 + 게이지압
= 대기압 - 진공압
7) 1kacl = 순수한 물 1kg 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1kcal = 3.968BTU = 2.205CHU = 4.1867 KJ
8) 열용량 = 어떤 물질의 온도를 1℃ 올리는데 소요되는 단위의 열량, 단위 cal/℃, 열용량 = 비열 x 질량
9) 비열 = 어떤 단위물질 1kg 을 1℃ 올리는데 소요되는 열량, 단위 cal/kg℃
비열값
물 : 1
얼음 : 0.5
증기 : 0.44 ~ 0.46
공기 : 0.24
10) 총열량 (현열)
전체 열량(Q) = 질량(G) x 비열(C) x 온도차(t2-t1) kcal
11) A(일의 열당량) = 1/427kcal/kgm
J (열의 일당량) = 427kg.m/kcal
12) 과열증기 : 포화증기의 온도를 상승시킨 증기 (압력변동은 없다), 건포화증기에서 더 열을 높인 증기 일반증기보다 온도가 높아진 증기
13) 물의 임계압력 = 225.56kg/cm^2
물의 임계온도 = 374.15℃ = 절대온도 273℃ + 물이 끓는온도 100℃
14) 건조도(x)
x : 0 (액) / 습증기 : 0 < x < 1 / 과열증기 : x > 1 / 건포화증기 : x =1
15) 현열 (감열) : 물질의 상태 변화 없이 어떤 물체의 온도 변화
16) 증발잠열과 융해잠열 : 온도의 변화는 없고 물질의 상태 변화시 소요되는 열량
0℃의 얼음이 0℃의 물로 되려면 80cal/g의 융해열이 필요하다. (0℃ 잠열)
100℃의 포화수가 100℃의 건조증기로 되려면 539cal/g 의 증발잠열이 필요하다. (100℃ 잠열)
17) 증기속에 수분이 많을 때
- 증기의 건조도가 저하한다.
- 증기의 전열량 (엔탈피)이 감소한다.
- 증기의 손실이 많아진다.
- 증기배관 등에 무리가 오며 수격작용 (워터 해머)이 일어난다.
- 증기배관장치가 부식된다.
- 증기기관의 열효율이 낮아진다.
18) 열의 전열 = 전도, 대류, 복사
19) 열전도 전열 (고체중의 열이동)
Q = 열전도값 - 벽의 면적 x 온도차 / 두께
20) 열통과 (열관류) : 유체가 고체 벽을 통과하여 다른 유체에 전달되는 열량, 열관류율의 단위 kcal/m^2h℃
K (열관류) = 1/R (열저항) = 1/ (1/고온열)+(두께/열전도값)+(1/저온열)
21) 복사전열 : 열파장의 복사선이 전자파 형태로 방출. 흑체 복사정수는 4.88kcal/m^2hr,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
22) 열전도율 : 고체에서 열전도에 의해 열이 이동하는 비율로서 단위시간당 1m^2의 단면을 전도하는것, 다뉘 kcal/mh℃
출제예상문제 (오답)
1. 외부와 열의 출입이 없는 열역학적 변화 - 단열변화
2. 물의 임계압력에서의 잠열은 몇 kcal/kg 인가? - 0
3. 다음중 열전도율의 값이 가장 적은것은? - 글라스울
4. 어떤 보일러에서 30℃의 급수를 엔탈피 630kcal.kg의 증기로 바꿀때 증발계수는? - 1.11
식: 증발계수 = 엔탈피 - 온도 / 539
5. 어떤 증기를 열량계로 측정하니 엔탈피가 644.5 kcal/kg이었다. 이 증기의 건조도는? (단, 증기의 건포화엔탈피는 659.6kcal/kg, 포화수 엔탈피는 165,6kcal/kg이다.) - 0.97
식: 엔탈피 - 포화수엔탈피 / 건포화엔탈피 - 포화수 엔탈피
6. 증기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증기압력이 커지면 잠열도 증가한다.
*증기의 압력이 커지면 잠열은 감소하고 엔탈피(전열량)는 증가한다.
7. 압력의 단위 : mmHg, mmAq, kgr/cm^2, kgr/mm^2, N/m^2, kPa(Pa, MPa)
8. 30마력(PS) 인 기관이 1시간 동안 행한 일량을 열량으로 환산하면 - 18,970 kcal
1[PS-h)]=632kcal , 30 x 632 = 18,970 kcal
9. 열관류율값을 적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것은? - 흡수성이 큰 보온재를 사용한다.
*흡수성이 큰 보온재는 열관류율값을 크게 하여 열손실을 증가시킨다.
*밀도가 크면 열관류율이 커진다.
10. 습포화증기의 엔탈피를 구하는 식은? - 포화수 엔탈피 + 증발열 x 건조도
11. 증기의 과열도 = 과열증기온도 - 포화증기온도
12. 물의 기화열이나 액체의 기화열은 잠열에 해당되며 온도의 변화는 없고 상태 변화만 있다.
13. 유속이 빠른 순서 : 과열증기 > 건포화증기 > 포화증기 > 물 (일반 증기 유속 25~30m/s)
'일상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관리기능사] 연소공학 필기 & 연습문제 (0) | 2023.06.09 |
---|---|
[에너지관리기능사] 연소 및 연소장치와 소화 필기 & 연습문제 (0) | 2023.06.08 |
[에너지관리기능사] 연료의 종류 필기 & 문제 (0) | 2023.06.08 |
[에너지관리기능사] 보일러 부속장치 필기 & 예상문제 정리 (0) | 2023.06.06 |
[에너지관리기능사] 보일러의 구조 및 종류 필기 & 예상문제 정리 (0) | 2023.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