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시오. 감염성 폐기물의 생물학적 불활화를 통해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설치하며, 사용하는 시료의 멸균등을 위해서 사용하는 장비로, 높은 압력과 고온을 이용하는 장비의 특성상 내열성 장갑 등을 착용해야하는것은?
답: 고압멸균기
2. 생물연구 수행중 돌발사고에 의해 안면부와 오염물질이 접촉하였을때 (눈 세척기)를 이용해 즉시 세척한다.
3. 연구활동종사자가 병원성 미생물 및 감염성물질을 취급할때 준수해야할 사항 중 틀린 것은
답: 연구실 출입문은 열림 상태를 유지하며 허가 받지 않은 사람이 임의로 연구실에 출입하지 않도록 할 것
4. 위해성평가에서 hazzard는 일종의 원인으로 봐야하고 risk는 그에 따른 결과를 의미하는 명확한 차이가 있다.
5. 지난 수년간의 연구실 사고 현황을 통해 생물분야는 화학, 전기, 기계 등 다른 연구분야보다 사고발생 비율이 월등히 낮았으며 이를 통해 생물안전관련 분야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안전함이 확인되었다.
답: x
6. 사고의 발생원인에 불가항력적 원인은 존재하지 않고, 사고는 모두 인재에 해당한다.
답: x
7. 태반을 제외한 의료용 폐기물은 재활용 원칙이 충족되어도 재활용을 금지 또는 제한하고 있다.
8. 감염성 병원체를 조작시 발생하는 위험으로부터 연구활동종사자, 연구실 환경, 작업물품등을 보호하기 위해 (생물안적작업대)를 설치한다.
9. 생물재해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생물안전의 구성요소에는 물리적, 화학작 요소가 있다.
답: x
10.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 붕대, 거즈,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일회용 주사기, 수액세트 등은 일회용 폐기물에 해당한다.
답: x
'실험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1기 [LMO안전교육] 2023년 LMO 연구활동종사자 교육 (0) | 2023.04.13 |
---|---|
2023-1기 [연구실안전교육] 사전유해인자 (0) | 2023.04.13 |
2022-2기 [LMO안전교육] 2022 LMO 연구활동종사가 보수교육 (1-2등급) (0) | 2022.11.23 |
2022-2기 [연구실 안전교육] 2022 안전의식 (0) | 2022.11.22 |
2022-2기 [연구실안전교육] 2022 사전유해인자교육 (0) | 2022.11.19 |